본문 바로가기
*팝(가수별)/P

Peter Paul And Mary / Lemon Tree

by "조우" 2012. 3. 2.


Lemon Tree
Peter Paul And Mary


마법사랑


      
      
      When I was just a lad of ten,
      My father said to me,
      "Come here and take a lesson from 
       the lovely lemon tree."
      
      내가 겨우 열 살 먹은 아이였을 때 
      아버지가 내게 말씀하셨지 
      "이리 와서 탐스러운 레몬 나무에서 
      가르침을 얻도록 해 보거라 
      
      "Don't put your faith in love, my boy,"
       My father said to me,
      "I fear if you'll find that love is 
       like the lovely lemon tree."
      
      사랑을 철썩같이 믿어서는 안 된단다" 
      아버지는 이렇게 말씀하셨어 
      "사랑은 탐스러워 보이는 레몬 나무와 
      같다는 걸 너도 알게 될까봐 두렵구나" 
      
      Lemon tree, very pretty and the lemon flower is sweet,
      But the fruit of poor the lemon is impossible to eat. 
      Lemon tree, very pretty and the lemon flower is sweet,
      But the fruit of poor the lemon is impossible to eat.
      
      사랑스런 레몬 나무, 그리고 향기로운 레몬 꽃 
      하지만 연약한 레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가 없어 
      사랑스런 레몬 나무, 그리고 향기로운 레몬 꽃 
      하지만 연약한 레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가 없어 
      
      One day beneath the lemon tree,
      My love and I did lie.
      A girl so sweet that when she smiled,
      The stars rose in the sky.
      
      어느날  레몬 나무 아래서 
      내 사랑과 누워 있었어 
      미소가 어여쁜 그녀가 미소 지으면 
      하늘엔 별들이 떠 올랐어 
      
      We passed the summer lost in love
      Beneath the lemon tree.
      The music of her laughter hid
      My father's words from me.
      
      우리는 레몬 나무 아래서 그렇게 
      사랑에 빠져 여름을 보냈어 
      음악 같은 그녀의 웃음 소리 때문에 
      아버지의 말씀은 잊고 있었던 거야 
      
      Lemon tree, very pretty and the lemon flower is sweet,
      But the fruit of poor the lemon is impossible to eat. 
      Lemon tree, very pretty and the lemon flower is sweet,
      But the fruit of poor the lemon is impossible to eat.
      
      사랑스런 레몬 나무, 그리고 향기로운 레몬 꽃 
      하지만 연약한 레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가 없어 
      사랑스런 레몬 나무, 그리고 향기로운 레몬 꽃 
      하지만 연약한 레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가 없어 
      
      One day she left without a word,
      She took away the sun.
      And in the dark she left behind,
      I knew what she had done.
      
      어느 날 그녀는 한마디 말도 없이 떠났어 
      내 삶의 태양과 함께 
      그녀는 어둠 속으로 떠나 버렸어 
      난 알고 있었지, 그녀가 한 일을 말야 
      
      She left me for another,
      It's common tale but true.
      A sadder man but wiser now,
      I sing these words to you.
      
      다른 사랑을 찾아 떠난 거야 
      흔한 일이지만, 사실인 걸 
      마음은 더욱 슬프지만, 난 이제 알게 됐어 
      이 노래를 당신께 불러 줄께 
      
      Lemon tree, very pretty and the lemon flower is sweet,
      But the fruit of poor the lemon is impossible to eat. 
      Lemon tree, very pretty and the lemon flower is sweet,
      But the fruit of poor the lemon is impossible to eat.
      
      사랑스런 레몬 나무, 그리고 향기로운 레몬 꽃 
      하지만 연약한 레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가 없어 
      사랑스런 레몬 나무, 그리고 향기로운 레몬 꽃 
      하지만 연약한 레몬 나무의 열매는 먹을 수가 없어
      




 

Lemon Tree / Peter Paul And Mary



 
     
Peter, Paul And Mary / 피터, 폴 앤 매리
데뷔/결성 : 1961년
활동 시기 : 1960, 1970, 1980, 1990년대
멤     버 : 피터 야로우(Peter Yarrow/기타, 보컬), 노엘 폴 스투키(Noel Paul Stookey/보컬, 기타), 매리 트레버스(Mary Travers/보컬)
혼성 트리오 피터, 폴 앤 매리(Peter, Paul & Mary)는 내면적이고 서정적인 포크로 밥 딜런(Bob Dylan)과 또 다른 형태의 포크 붐을 주도했다. 인권과 반전이라는 모던 포크의 기본적 성향과 맥을 같이 하면서도 멜로디와 화음, 맑고 서정적인 보컬로 기존의 팝 음악과 맥을 같이했던 이들의 음악은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어 사이먼 앤 가펑클(Simon & Garfunkle) 이전까지 대중들로부터 가장 사랑 받는 포크 그룹으로 자리했다.
1950년대 후반, 뉴욕의 그리니치 빌리지(Greenwich Village)에서 뮤지션의 꿈을 키우던 피터 야로우(Peter Yarrow)는 밥 딜런(Bob Dylan)과 더 밴드(The Band)의 매니저로 활약하게 되는 알버트 그로스맨(Albert Grossman)과 인연을 맺어 포크 리바이벌의 선구자인 더 위버스(The Weavers)를 음악적 모델로 삼은 포크 그룹을 만들게 된다. 1961년 그로스맨의 주선으로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배우 겸 가수로 활동하던 노엘 폴 스투키(Noel Paul Stookey)와 의기투합하게 되었고, 폴과 친구로 지내던 여성 보컬리스트 메리 트래버스(Mary Travers)가 합세하여 세 멤버의 이름을 딴 피터, 폴 앤 매리(Peter, Paul & Mary)의 역사가 시작된다.
이들의 출발은 순탄했다. 유능한 매니저 덕분에 데뷔와 동시에 메이저 레코드사인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을 체결했고, 1962년에는 데뷔 앨범 <Peter, Paul And Mary>가 앨범차트 정상에 오르는 대 성공을 거두었다. 현대 포크의 아버지 피트 시거(Pete Seeger)의 노래를 재해석한 'If I had a hammer(10위)'와 국내에서 이들의 대표 곡으로 자리한 'Lemon tree(35위-풀스 가든의 노래와 다른 곡)' 뿐만 아니라 '500 miles',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Cruel war' 등 대부분이 사랑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로 이들은 그 해 그래미에서 최우수 포크 부문과 최우수 팝 그룹의 2개 부문을 수상했다.
데뷔 앨범의 성공은 이들의 디스코그라피를 빠르게 늘렸다. 1963년에는 <Move>와 <In The Wind> 두 장이 각각 앨범 차트 2위와 1위에 오르며 거침없는 인기 행진을 이었다. <Move>에서는 우리 영화 「와니와 준하」에서 조승우의 테마로 사용된 'Gone the rainbow'와 포크의 전설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의 명곡을 리메이크한 'This land is your land'가 수록되어 있으며, 'Puff (The magic dragon)'이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했다. <In The Wind>에서는 밥 딜런의 원곡을 커버한 'Blowin' in the wind(2위)', 그리고 김광석의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의 원곡이 되는 또 다른 밥 딜런의 작품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9위)'도 탑 텐에 올랐다. 두 LP도 피터 폴 앤 매리에게 그래미 최우수 포크 상과 최우수 팝 그룹 트로피를 다시 한 번 안겨 주었다.
1965년, 11위에 오른 음반 <See What Tomorrow Brings>에서는 'Early mornin' rain(91위)' 등이 인기를 얻었고, 8위에 오른 <A Song Will Rise>에서는 에릭 클랩튼(Eric Clapton)이 언플러그드에서 부르기도 했던 블루스의 고전 'San Francisco bay blues'와 'For lovin' me(30위)' 등이 사랑 받았다.
1966년에는 데뷔 앨범에 수록되었던 'Cruel war(52위)'가 반전 분위기에 편승하면서 다시 한 번 차트에 등장했으며, 이듬해에는 'I dig rock and roll music(9위)'으로 포크의 명맥을 이어갔다. 1969년도 앨범 <Peter, Paul And Mommy>에서는 강한 느낌이 묻어나는 'Day is done(21위)'이 인기를 누렸으며, 존 덴버(John Denver)가 작곡한 'Leaving on a jet plane'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싱글 차트 정상에 올랐다. 이 곡은 1999년 영화 <아마게돈>의 사운드트랙에 캐나다의 여성 싱어 송라이터 섄탈 크레비아젝(Chantal Kreviazuk)의 음색으로 담겨 있어 신세대 음악 팬들에게도 낯설지 않다.
그러나 혼란스런 미국 사회를 음악으로 표현한 사이키델릭과 블루스, 그리고 하드록이 1960년대 후반부터 전면으로 부각되자 이들의 인기는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Peter, Paul And Mommy>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결국 1970년에 해산을 선언했다. 이미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메리, 야로우의 재혼, 그리고 가스펠 음악으로의 전환을 원했던 폴 등, 각 멤버들의 개인 사정이 '삼인조' 활동을 부담스럽게 한 공식적인 이유였다.
해체한지 8년만인 1978년에 피터와 폴, 그리고 매리는 <Reunion>이라는 앨범을 선보이며 재결합을 선언했다. 1960년대와 같은 인기와 화제를 불러일으키지는 못했지만 이들은 변함 없는 공연 활동으로 음악 팬들에게 마음의 평화와 아늑함을 채워주고 있다.

 

'*팝(가수별) > 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il Collins - Take Me Home  (0) 2012.06.21
Placido Domingo & John Denver - Perhaps love   (0) 2012.03.02
Paul McCartney & Eric Clapton - Something   (0) 2012.03.02
Popsie - Latin Lover 라이브   (0) 2012.03.02
Pussy Cat Dolls / *Sway*   (0) 2012.03.02